1"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제24조(건축물의 마감재료)에 의거 건축물 외벽에는 "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에 의한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를 사용해야 함.
1"건축자재등 품질인정 및 관리기준"(2022.2.11 제정 및 시행)에 의거 외벽마감재료 또는 단열재가 둘 이상의 재료로 제작한 경우 "준불연재료"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심재인 단열재는 알루미늄 포일을 제거한 상태로 (☞미제거시 내부으로만 인정) "콘칼로리미터시험" 및 "가스유해성시험"을 하여야 하며,
1 전체 구성을 하나로 보아 즉 완제품으로 "실물모형시험"을 통과해야만 "준불연재"로 인정됨
1Space-Wall은 외벽마감재료 또는 단열재를 구성하는 재료가 모두「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6조에 해당하는 불연재료로 별도로 실물모형시험을 하지 않아도 됨
1Space-Wall은 내화온도가 1,000℃이상인 불연단열재로 인증받은 미네랄울을 사용하여 연소하거나 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화재로 부터 안전함.
1우레탄 등 기존단열재는 화염이 전파되며 연소과정에서 유독가스가 발생함.☞시안화수소(HNC)가 2.5(mg/g) 발생
※시안화수소(HNC)는 연소시 일부 단열재에서 발생하는 매우 유독한 가스임. - 0.1g 수준에서 사람이 1분만에 사망함. -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나치 수용소에서 유대인 학살에 사용 - 국내에서도 화재로 많은 인명사고 발생
①콘칼로리미터시험
②가스유해성시험
③실물모형시험
확대
단열성
1균일하고 미세한 섬유로 이루어진 스페이스월 단열재인 미네랄울은 열전도율이 낮아 뛰어난 보온.단열효과를 발휘합니다.
흡음성
1밀도가 높고 가느다란 섬유사이마다 공기를 촘촘히 포함하고 있어 흡음성능이 뛰어나고, 흡음이 잘 안되는 저주파음에도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내후성
1스페이스월의 미네랄울 단열재는 대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지 않으며 조직이 안정되어 다른 단열재보다 내후성이 뛰어납니다.
내진성
1건축법 제48조의2, 건축구조기준(KBC2016), 학교설계 내진설계 기준에 따라 건축물의 부구조체(천정틀. 돌붙임 구조 등)는 내진성능이 확보되어야 함.
1전통적인 조적·석재·패널 공법은 지진에 취약한 구조이나, Space-Wall Pannel은 벽돌타일, 화강석 등 마감재의 두께를 최소․경량화하여 건물 하중의 부담을 감소, 지진발생 시 마감재 붕괴 위험을 최소화 함.
1Space-Wall Pannel은 AAMA 501.6에 따라 법적 최대 허용층간 변위량을 초과하여 KCL 장비 최대 Test 가능 범위인 좌.우 150mm 변위까지 동적내진성능 시험(층간변위 테스트)을 실시하였으나 외장재의 탈락이 없었음. ☞ 국내 내진설계 기준(특,Ⅰ.Ⅱ,Ⅲ)은 진도 6~7, 최대 허용층간 변위량은 80mm임.